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6

가스터빈은 공급 숏티지, 근데 HRSG는?? 가스터빈 공급사는 사실상 GE, 미쓰비시, 지멘스 3개라고 보면 되고, 공장도 전세계에 10개가 안된다. 나머지 제조사는 위 3회사로부터 라이센스를 얻어서 생산하는데 그친다. 이런시장에서, 두산에너빌리티가 몇년전에 가스터빈을 자체 개발하여 시장에 진입하려고 한다. 이런 시장에서는 누가봐도 공급 숏티지이다. 그렇다면, 비에이치아이가 주력으로 하는 HRSG는 어떠한가? 과거에 석탄발전이 흥할때 우후죽순으로 생긴 보일러 제조 회사들이 가스터빈 발전과 함께 HRSG으로 진출하면서 오히려 공급과잉 의 시대였다. 그 후, 글로벌 경기성장이 정체되면서 발전소 CAPEX 증가율이 줄어들고 신재생이 도입되면서, 석탄, 가스발전소는 과거와 같지 않 았고 많은 회사들이 구조조정되고 인수 합병되면서 많이 줄었다. 많이 줄었어.. 2025. 6. 2.
딥벨류 모멘텀 :: 현대제철 , 동국제강 간략점검 철강업의 싸이클 현재 수요는 감소 지속에서 반전의 실마리 중국은 경기 부양, 미국 에너지 인프라 투자, 중동 신사업 인프라 투자, 인도 성장가도 인프라 투자 여기서 철강공급의 50%를 담당하고 있는 중국의 신규 착공 여부에 따른 수요 진작에 따른 열연 가격 상승이 체크 포인트 공급은 수요가 너무 안좋아, 한국은 동국제강, 현대제철등이 일부 공장 일시 가동중지까지 들어가며 공급을 줄이고 있음. 또한, 중국은 그동안 생산량 제어를 했지만 신규 설비 증설 및 공장 준공에 따른 공급과잉에 실패했지만, 이제는 신규 설비 증설 및 신규공장 착공을 금지하는 법안을 발표하며 제재중. 지금이 바닥일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한국은 중국 및 일본 공급에 대해 후판에 대해서는 중국에 반덤핑 관세를 매겼고, 열연에 대해서.. 2025. 6. 2.
세아베스틸지주 간략점검 다올투자증권 - 이정우 애널리스트 "현대제철, POSCO홀딩스, 세아제강 " 제시 - 중국의 감산은 실질적인 효과가 별로 없을 것으로 생각. - 따라서 외국에서 수요가 있으면서 중국 저가 steel에 대한 규제가 강한 나라로 수출하거나 공장이 있는 철강기업 선호 - 미국, 인도가 중국 같은 저가 steel에 대해 규제가 강력함. - 미국으로 진출하는 회사는 현대제철. 루이지애나에 2025년 3분기 착공 예정. 2029년 준공 예정 - 현대제철의 루이지애나 공장은 연간 290만톤 CAPA 예정 - 수요는 미국에 진출한 현대차그룹의 공장 수요와 리쇼어링 정책에 따른 제조업, 건설업 전방산업의 수요 증가 기대 - 현대제철의 전기로 가치 30억 달러, 현대제철의 지분 25% 가정시 약 1조원의 가치. 현재 .. 2025. 6. 1.
철강업 봐야할 때 저 PBR이 한참 뜨겁다. 저 PBR이면 그냥 X2, X3 주가를 올리면서, 아직도 PBR 1이 아니내? 하면서 올려 제낀다. 저 PBR을 올린다는 애기는 숫자놀음 같지만, 사실 내포한 의미가 무겁다. PBR = ROE x 1/r (1/r = PER , r은 할인율)인데, 할인율을 내리거나 ROE를 올려야 한다. 오케이, 할인율은 금리 내리면서 유동성 장세로 가능하고 현재 가고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29100600002 한은 총재 "금리 인하폭 예상보다 커질 것…집값 상승 우려"(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9일 "향후 기준금리 인하 폭이 조금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www... 2025.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