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1

트럼프의 에너지 정책 방향은?(뇌피셜) 트럼프 정권의 핵심은 MAGA이다. 그리고, MAGA의 근본의 근본은 중국과의 패권전쟁 승리쟁취이다. 그를 통해 미국이 잘 사는 것이다. 더 자세히 말하면 AI 패권전쟁이겠고,,, 중국하고 AI 패권전쟁에서 이길라면 공급망을 미국에다가 만들어야 한다. 즉, 제조업 리쇼어링이다. 그 수단으로 관세를 이용한다. 미국만이 관세가지고 이정도 횡포를 저지를 수 있을 것이다. 우리입장에서는 맘에 안들지만,,, 결과는 장담못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미국 입장에서는 잘하고 있는거 같다. 예전처럼 선비 행세하면서는 미국은 이익을 못 취했을 것이다. 어쨌던, AI 패권전쟁을 할라면 돈이 있어야 한다. 근데, 돈을 만들 국채 수요가 점점 없어진다. 그걸, 규제완화와 스테이블 코인과 관세를 통해 해결할라고 한다. 그 과정에서 .. 2025. 7. 19.
태양광 발전 여름에 좋나? 원자력 대체? 요즘 나오는 기사들은 대한민국은 원자력, 가스 공화국이고 신재생 발전 비중이 너무 낮다고 한다. 이 의미가 무엇일까? 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82967 한국의 2024년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첫 10% 돌파[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한국의 2024년 총에너지 소비는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에너지 효율성을 나타내는 에너지원 단위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전 부문에서는 신재생에너www.todayenergy.kr https://www.consumertimes.kr/52612 ≪소비자를 위한 신문≫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 30%로 확대해야”산업통상자원부는오는2030년까지우리나라의신재생에너지비율을최소30%까.. 2025. 7. 17.
제이앤티씨 'HDD 유리 플래터' Segate의 최근 주가 추이 - 최근 2025-06-03에 열린 Bank of America Global Techonology Conference 2025에서 Segate의 CFO Gianluca Romano가 참석하였고 애널리스트들과의 Q&A 내용중 주목할 부분은 아래와 같다. Q1 : 귀사의 일부 목표치들은 실질적으로 상향되었다. 업계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가? A1 : 과거에는 엑사바이트의 성장과 매출 성장이 항상 정관계를 보여주지 못했다. 주원인은 업계의 공급 과잉 상황이었다.클라이언트 비즈니스에서 몇년 전부터 클라우드 비즈니스로의 이동이 서서히 시작되었다. 미약한 엑사바이트 수치에서 시작하였지만, 현재는 여전히 클라이언트 비즈니스가 50%를 차지하지만, 현재 데이터 센터는 엑사바이트의 80%.. 2025. 7. 12.
하반기 중동 수주 전망 - 올해 상반기는 유가 하락에 의한 재정 부담 및 지정학적 리스크와 작년 하반기 예상 소진에 따른 예산 부족등으로 수주가 전년대비 40%정도 까였다. - 하반기는 유가 및 지정학적 리스크 안정화와 발주처 예산확보로 수주가 증가할 전망이다. 상저하고 - 수주는 신재생에너지 설비투자, 인프라 투자, 플랜트 건설, 스마트시티등이다. - 위의 건설투자의 기본에는 에너지 확보가 필수이다. -현재 기저전원으로 사실상 유일한 방법은 복합화력발전소이다. - 중동은 현재 산업구조 탈바꿈에 주력중이다. 사우디 비전 '2030', UAE '에너지 전략 2050'등의 국가주도 성장 전략을 펴고 있다. - 신재생 에너지 쪽으로의 전환에 힘쓰고 있다. 그런데 그를 위해 기전전원이 필수이다. 따라서 신재생 : 기저발전을 1:1.. 2025.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