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모장4

성상현 과장 매크로 뷰 간략정리 *단기적 매크로-유동성으로 주식시장 전망-미국 국채 발행할때 연준이 사주지 않으면 통화량 증가 X-미정부의 국채발행은 부채 발생 의미-국채 발행한 돈을 재무부가 재정지출을 할 경우 유동성은 변동  X-현재 정부의 재정지출은 시장의 잉여유동성을 정부의 현금계좌로 가져와서 정부가 원하는 곳에 자본 투입하는 형태-반도체, 배터리, 국방등 미국의 패권을 강화할 수 있는 곳에 자본분배함. 중국과 패권전쟁에 목숨 검. -22년 하반기 부터 시작한 미국의 계획경제. 이것은 단기간에 끝나는 것이 X, -이것은 인플레이션과 관련없고, M7이 주가 랠리를 이어온 원동력. 결과가 증명함 미국 증시에 관해 우리가 생각해 볼 11가지 이슈1. 연준의 금융긴축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부는 어떻게 유동성을 방어(조작)했나? 2. [단.. 2024. 9. 14.
제2의 중동붐 :: "SNT에너지" 간략점검 23년 6월 24일, 현대건설 사우디서 아람코로부터석유화학 건설 수주 6.4조 플랜트 수주. 사우디아라비아 주베일에 석유화학 콤플렉스 패키지1(에틸렌 생산시설), 패키지4(유틸리티 기반시설)  50억달러 수주. 과거 정주영 회장이 주베일 산업항 수주를 기적적으로 따내며, 20세기 최대 건설공사라 불리며 1979년 2월 2년반동안의 공상를 성공적으로 끝내며 1980년대 중동건설 붐을 만들었다.왜냐면, 이 일을 계기로 그전까지 듣보잡이던 우리나라의 존재가 중동에서 부각되며, 대형공사를 잇달아 맡게 되었기 때문이다. 1970,80년대 중동건설붐에 이어, 50여년이 지난 지금은 정유나 석유화학등 대규모 생산시설을 짓는 플랜트 산업이 중동에서 생겨나고 있다. 오만 두쿱경제특구에서 대규모 정유 플랜트가 들어서서 2.. 2024. 6. 4.
2차전지는 성장둔화에 진입했는가? 비교하기 딱 좋은 최근의 사례가 있다. 스마트폰이다. 스마트폰 시장 침투율과 주가의 관계를 보자. 산업의 성장률이 정점을 찍는 시기는 침투율이 50%에 도달했을 때다. 주가도 이때 정점을 찍을 확률이 크다. 침투율 구간마다 주가 상승폭은 달랐다. 성과가 가장 좋은 구간은 0~10% 구간이다. 기술적 대중화 이전 단계로, 이땐 스마트폰 관련 회사 아무거나 사면 올랐다. 즉, 스마트폰 섹터에 투자하면 됐다. 누가 주도주가 될지는 판단하기 어려운 시기. 10~20%의 침투율 구간에서는 옥석 가리기가 시작된다. 주도적인 몇몇 기업들과 쩌리기업들의 차이가 벌어진다. 20%가 넘어가면 1등 기업에 투자할 시기이다. 스마트폰은 애플과 삼성이었다. 최근은 애플. 2차전지 시장을 보자. 2023년 전기차 침투율은 17%.. 2023. 10. 30.
'한국 경제발전과 맞바꾼 기후, 용광로의 두얼굴' (from 제로에너지바 유튜브) 메모 -2022년 우리나라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이 6억 5천만톤 -그 중 7000만톤을 포스코 기업에서 배출, 10%이상 점유율, 철을 만들면서 배출. -용광로의 불을 끌 수 없는 포스코의 어쩔수 없는 이유에 기인 -현대 철 생산방법은 용광로에 철광석을 녹여서 생산. -철을 제련하는 이유는 자연상태에 철광석은 불순물이 섞여 있어서 제거해야 함 -뜨거운 용광로에 철광석과 석회석, 코크스를 섞어서 넣으면 철에서 산소를 환원시키고 탄소를 어느정도 포함시키는 일이 벌어짐 -> 고로법 -개발도상국이던 우리나라가 제철소를 한다는 것은 당시 제철 선진국이던 유럽에서는 불가능으로 생각함 -그래서, 성숙해 있던 고로 기술도 생각보다 쉽게 들어왔고, 제철 플랜트 구매자가 거의없던 시장에서 우리나라는 싸게 설비를 들여올 수 있었.. 2023.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