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올투자증권 - 이정우 애널리스트
"현대제철, POSCO홀딩스, 세아제강 " 제시
- 중국의 감산은 실질적인 효과가 별로 없을 것으로 생각.
- 따라서 외국에서 수요가 있으면서 중국 저가 steel에 대한 규제가 강한 나라로 수출하거나 공장이 있는 철강기업 선호
- 미국, 인도가 중국 같은 저가 steel에 대해 규제가 강력함.
- 미국으로 진출하는 회사는 현대제철. 루이지애나에 2025년 3분기 착공 예정. 2029년 준공 예정
- 현대제철의 루이지애나 공장은 연간 290만톤 CAPA 예정
- 수요는 미국에 진출한 현대차그룹의 공장 수요와 리쇼어링 정책에 따른 제조업, 건설업 전방산업의 수요 증가 기대
- 현대제철의 전기로 가치 30억 달러, 현대제철의 지분 25% 가정시 약 1조원의 가치. 현재 시총 대비 30%
- 마찬가지로, POSCO홀딩스는 인도로 진출.
- 2031년 인도 공장 준공예정이며, 연간 500만톤 CAPA 예정
- POSCO홀딩스의 인도 고로 가치는 40억달러 추정, POSCO홀딩스의 지분 50%로 2.8조원 가치. 현대 시총 대비 14% 수준
- 현대제철, POSCO홀딩스 모두 중국의 후판 반덤핑 관세부과에 크게 반응했었다.
- 물론 보세구역에 있는 조선 후판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지만, 조선후판을 제외한 55%의 비조선용 후판에서 ASP가 올라왔다.
- 2024.12월 수입 열연강판에 대해서도 반덤핑 제소가 이뤄졌고, 그 결과는 6~8월 사이에 나올 것.
- 열연강판은 중국산 뿐만 아니라 일본산까지 대상으로 관세 20% 부과시 ASP는 15% 인상할 것으로 예상
하나증권 - 박성봉 애널리스트
"현대제철, 세아베스틸지주, 동국제강" 제시
- 다올증권과 유사한 투자포인트는 국내의 반덤핑 관세 부과에 따른 ASP 상승으로 인한 혜텍. 국내 하반기 건설등 내수 살리기 수
혜 예상.
- 차별화된 점은, 중국 감산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여 그 수혜의 폭을 더 크게 제시.
- 중국 감산 효과는 정부의 신규 CAPA 금지와, 개보수도 CAPA를 조금이라도 줄이는 선에서 허용 정책과, 경기악화에 따른 중국 철
강기업들의 조강생산 감산이 나올 것으로 기대
- 중국의 철광석 가격은 90~100불 박스권에서 안정적으로 갈 것으로 기대. 만약 중국 부양책이 생각보다 쏄 경우 더 큰 상승 기대.
그러나, 개인적으로 중국이 거품이 낀 부동산에 부양책을 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
- 하지만, 역사적으로 철강에서 중요한 것은 전방수요가 없더라도 ASP 상승이 업황 턴어라운드의 시발점이었다는 것.
- 그리고, 착공이나 거래량이 올라가기전 주택 가격 턴어라운드가 철강업 턴어라운드의 시작점이었따는 것.
- 1선도시의 주택가격이 회복세로 전환했다.
- 중국읜 5월 7일 "시장 심리 지원을 위한 패키지 금융정책"을 통해 정책금리 0.1%P인하와 함께 주택공적금 금리를 0.25%P 인하
- 중국의 자산부양 정책이 누적돼 내년부터는 민간건설이 살아날 것으로 기대. 기대에 열연 가격은 올라 갈 것으로 예상
세아베스틸지주
두 애널리스트의 공통점은 국내 새정부의 내수부양과 중국 및 일본 반덤핑 관세로 인한 후판 및 열연 가격 인상 수혜를 애기했다.
철강은 수요는 둘째치고 우선, 뭐가됐던 ASP 상승이 주가 상승의 출발점이며, 이렇게 시클리컬주의 상승은 시작한다.
◆ 기업개요
세아베스틸지주사는 순수지주회사로서, 주요 계열사는 아래와 같다.
- 세아베스틸지주사는 요즘 같은 시기에 귀하디 귀한 단조회사로서 특수강을 가지고, 자동차, 건설, 원전, 조선, 방산, 항공, LNG 및
심해 시추용 무계목 강관등 모든 것을 만들어 낸다.
- 글로벌 자회사들도 보유하고 있어서 특수강 글로벌 공급망으로 미국, 아시아, 중동, 유럽 전역을 커버한다.
- 소재부터 가공까지 수직계열화 되어 있어서 가격경쟁성도 있으며, 고객의 요구대로 만들어주는 대장장이이다. 요즘, 중국빼고 단
조회사 찾기가 힘들다.
- 또한, 초합금, 친환경 소재로 미래 산업에도 진출
'산업이야기 > 철강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제철 :: 120개월 월봉선까지가 최대인가? (6) | 2025.06.04 |
---|---|
딥벨류 모멘텀 :: 현대제철 , 동국제강 간략점검 (2) | 2025.06.02 |
철강업 봐야할 때 (3) | 2025.06.01 |
조선용 후판 가격 인상 (1) | 2025.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