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이야기/2차전지 산업

IRA :: 미네랄 수급 가능한가?

by 지안 아빠 2022. 8. 28.
반응형

IRA 원문 중 해석이 모호한 부분이 있어, 한번 정리해 볼라고 한다.

우선,

 

``(7) Excluded entities.--For purposes of this section, the term `new clean vehicle' shall not include—

(7)제외사항 : 본 조항의 목적상 “NEW CLEAN VEHICLE’은 다음을 포함 할 수 없다.

``(A) any vehicle placed in service after December 31, 2024, with respect to which any of the applicable critical minerals contained in the battery of such vehicle (as described in subsection (e)(1)(A)) were extracted, processed, or recycled by a foreign entity of concern (as defined in section 40207(a)(5) of the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42 U.S.C. 18741(a)(5))), or

(A) E조1항A에 명시된 바와 같이2024년 12월 31일 이후에 판매된 차량의 배터리에 포함된 중요 광물 중 어느 것이든 우려 외국 집단에 의해 추출, 처리 또는 재활용된 모든 차량 (기반시설 투자 및 일자리법-42 U.S.C. 18741 A조5항에 정의된 바와 같이) 또는

``(B) any vehicle placed in service after December 31, 2023, with respect to which any of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battery of such vehicle (as described in subsection (e)(2)(A)) were manufactured or assembled by a foreign entity of concern (as so defined).''.

(B) E조2항A에 명시된 바와 같이 2023년 12월31일 이후에 판매된 차량의 배터리에 포함된 구성 요소가 우려 외국 집단에 의해 제조 또는 조립된 것

[출처] 미 물가 감축 법안 (I.R.A.)|작성자 몽데렐라

 

우려되는 외국 집단(중국)에 의해 재활용되거나 추출 또는 가공한 미네랄을 쓰는 경우 보조금 제외 대상이라고 되어 있다.

그렇다면 mining 즉 채굴은 가능한 것인가?  

그런데, 원광은 되는데 정광(concentrate)은 안되는 것인가?

광산에서 채굴한 날것이 원광이다. 원광을 제련하기 전에 높은 품도의  광물로 만드는 과정을 선광이라고 하고 그 결과물이 정광(concentrate)이라고 한다.

 

위와 같이 광산에서 채굴한 원광을 일반적으로 광산근처의 선광공정에서 일차적으로 선광과정을 거쳐 불순물등을 제거하여 제련하기 알맞은 정도의 광물을 추출한다. 즉, 선광과정을 extracted 과정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정광부터 보조금 제외가 된다고 하면, 사실상 채굴도 안된다고 보는게 맞을거 같다. 왜냐면 중국에서 원광을 그냥 판매할 것 같지가 않다. 판매한다고 하더라도 마진율일 조금이라도 높은 정광을 팔일이지...

삼프로 현대차증권의 강동진 연구위원님은 mining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으므로 된다고 하셨는데, 실제적으로 mining 과정을 보면 정광(concentrate) 부터 중국의 extracted가 개입된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채굴도 안된다고 보는게 맞지 않을까 싶다.  혹시 모르지,,,, 중국을 잘 꾀어서 원광만 받아 온다면 괜챦을지도...

 

다음으로, 미국 또는 미국과 FTA를 맺은 국가로부터 광물을 조달하는 것을 허용한다고 하였는데, 충분한 광물 확보가 가능할 것인가 따져보자.

우리나라 삼원계 2차전지의 중요한 미네랄은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흑연이다. 

위의 그래프는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전체 생산량과 매장량의 그래프이다.

 

위의 그래프는 2차전지용으로 쓰이는 광물의 채굴, 가공, 양극재 생산, 음극재 생산, 배터리 셀 생산, 전기차 생산 관련 그래프이다.

관심사는 mining 즉 채굴이다. 리튬은 1위 호주, 2위 칠레, 3위 중국이다. 니켈은 1위 인도네시아, 2위 기타, 3위 러시아, 4위 호주, 5위 중국이다. 코발트는 1위 콩고, 2위 기타, 3위 러시아, 4위 호주이다.  흑연은 1위 중국, 2위 기타, 3위 유럽, 4위 러시아이다.

미국과 FTA를 맺은 국가는 아래와 같다.

미국과 FTA을 체결한 국가중 2차전지 주요 광물 생산가능 국가는 6개국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미국과 FTA를 맺은 국가를 고려해서 공급가능한 광물 생산 비중을 따져보자.

특히, 니켈은 99.8% 이상의 순도를 가지는 Class 1 니켈 공급은 위의 10.7% 보다도 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리튬도 81%로 넉넉해 보이지만, 배터리급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 생산 비중은 20% 중반대로 추정되고 있다.

 

전체적인 그림은 미네랄 수급이 매우 힘들어 보이지만, 우리나라 2차전지 업체들은 중국외의 원재료 공급처를 이미 확보를 해놓고 있는 상황이다.

 

  체결시기 업체 기간 내용
LG
에너지솔루션
20.12 칠레 SQM 2021~2029 5만 5000톤의 탄산리튬,수산화리튬 공급
21.1 중국 Great power 2023~2028 니켈 2만톤 공급 예정
21.1 브라질 시그마리튬 2022~2027 -2023년에는 6만톤, 2024~2027 매년 10만톤
-추가 공급 합의 시 2024년부터 최대 연간 15만톤 공급
21.6 호주 QPM 2023~2032 매년 니켈 7000톤, 코발트 700톤 공급 예정
21.8 호주 AM 2024~2029 니켈 7만1천톤, 코발튼 7천톤 공급 예정
21.12 캐나다 리이사이클 2023~2029 재활용 니켈 2만톤 공급 예정
22.1 독일 벌칸 에너지 2025~2045 수산화리튬 45,000톤 공급 예정
22.1 호주 라이온 타운 2024~2028 리튬 정광 70만톤 공급 예정
22.6 미국 콤파스 미네랄 2025~2031 생산하는 친환경 탄산 수산화리튬의 40%를 공급 예정
삼성 SDI 20.2 스위스 글렌코어 2020~2024 최대 21000톤 규모의 수산화코발트 속 함유된 코발트 공급 예정
20.11 호주 QPM 2020~2024 매년 6000톤의 니켈과 구리를 공급받는 상품 스왑 계약 체결
21.3 미국 리벤트 미정 SDI의 파트너사인 BMW와 약 3,770억원 규모의 리튬 장기 공급 계약 체결
22.6 미국 CTR 2025~2034 삼성SDI와 스탤란티스간의 합작투자로 건설중인 미국 코코모 배터리 공장에 연간 최대 2만 5000톤의 수산화리튬 공급
SK 18.4 호주 AM 2020~2026 최대 13년간 황산 코발트 1만2천톤과 황산 니켈 6만톤 공급
19.4 중국 TLK 2019~2024 수산화리튬 최대 5만톤 공급
19.12 스위스 글렌코어 2020~2025 코발트 약 3만톤 구매계약 체결 및 공급(전기차 약 300만대분)

현재 자원 조달에서 가장 막강한 기업은 포스코케미칼이다.

-아르헨티나 리튬 염호(옴브레 무에르토) 보유, 2024년 부터 연간 수산화리튬 5만톤 생산 계획(전기차 약 120만대분)

 원래 폰드에 저장한 염수를 자연 증발해 초고농도로 농축한뒤 리튬을 생산할려면 최대 2년이 걸리지만, 포스코케미칼은 

 폰드에서 저농도로 농축한 후, 자체 개발한 염수리튬 추출 기술로 리튬을 3개월만에 생산가능.

-전남 광양의 포스코리튬솔루션 광석리튬 공장에서 2023년부터 연 4만3천톤의 수산화리튬 생산 예정.

-24년까지 리튬 자급률 102% 확보 계획. 24년 리튬 필요량이 9만1천톤인데, 2024년까지 9만3천톤(전기차 220만대분) 리튬 확보 계획.

-2025년에 11만톤, 2030년까지 22만톤 자체조달 계획

-자원조달에서 가장 문제가 될 수 있는 흑연은  호주의 Black Rock Mining LTD 의 지분 14.8%를 획득하면서 이 광산에서 생산되는 음극재용 흑연에 대해 영구적인 구매권한을 얻게 되었다.

 

IRA는 교묘하게 미국기업 우선주의이며,  미국 외 국가들은 미국에 생산기지를 짓게 하는 푸쉬가 담겨져 있다.

IRA를 잘만 이용하면 강력한 라이벌인 중국을 제외시키고 미국 시장을 과점할 수 있는 상황이다.

 

 

반응형

댓글